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4강 - 워드프레스 설정 제대로 배우기 (Feat. 오늘의 고생은 내일의 행복)
11K views
Jun 18, 2024
이번 영상에서는 워드프레스 설치 후 가장 처음 해야 할 설정들을 저와 함께 쭈욱 따라가며 해결합니다. 지루하고, 재미없을 수 있어요! 하지만 오늘 투자한 제대로 된 설정시간 30분은 여러분이 나중에 잘못 설정한 것을 깨닫고 바로잡기위한 고통의 30시간을 줄여준다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. 끝까지 마음잡고 따라오시죠! :) 워플 커뮤니티가 생겼습니다. 오셔서 같이 성장하시죠! https://wplaybook.com/go/community
View Video Transcript
0:00
워플의 이�
0:05
네 안녕하세요 여러분 워플의 이삭입니다. 오랫동안 기다리셨죠? 지난 시간에 저희가 워드프레스를 설치를 하�
0:11
여러분께 제작해드린 올백 테마까지 설치를 해보았습니다. 자 오늘은 그 다음 이야기입니다. 화면을 일단 보면서 이야기를 해볼까요
0:19
제일 먼저 저희가 해볼 것은 사이트의 어떤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는 작업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0:26
아무래도 저희가 영어보다는 한국어 편하죠? 제일 처음에 가볼 것이 어디냐 여기 세팅 섹션에 가본 다음에 첫 번째에 있는 제너럴 이라고 하는 곳을 선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0:38
그래서 세팅 그리고 제너럴 한번 눌러볼게요. 그러면 사이트 타이틀 그리고 태그라인 뭐 이런 게 나와 있고 쭉 밑에 내려 보시면 사이트 랭귀지 라고 하는 부분이 나와 있습니다
0:51
저희가 한국어로 바꾸는 작업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그래서 여기를 클릭을 하면 한국어 있네요
0:57
그래서 한국어 선택을 한 다음에 그 다음에 타임존 있거든요. 타임존도 한번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
1:03
타임존은 위쪽에 쭉 올리시다 보면은 아시아 섹션이 있어요. 그래서 아시아 섹션이 이렇게 있�
1:10
이 중에서 S 있는 데를 보시면 아마 서울이 있을 겁니다. 여기 있네요. 서울 여기까지 해�
1:16
한국어랑 타임존은 서울로 바꿔줬습니다. 이 상태에서 어디를 가시냐 제일 밑으로 내려서 Save Change라고 하는 이 버튼 있죠
1:25
여기를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. 눌러볼게요. 그러면 왼쪽에 있는 메뉴들도 다 한국어로 바뀌게 되�
1:32
이런 화면들도 한국어로 바뀐 것들이 있습니다. 그 다음에 이제 날짜 표시 형식이라고 하는 이 부분을 볼 텐데요
1:42
여기에 첫 번째로 되어 있는 거 있죠? 2024년 2월 22일이라고 하는 얘를 설정을 해야�
1:48
저희가 보통 사용하는 연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월 나오고 일 나오는 날짜 표기로 설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
1:55
첫 번째 거 선택을 하고요. 그 다음에 이 밑에 시간 표시 형식은 사실 그렇게 많이 사용은 하지 않지�
2:02
그래도 오전 4시 13분이라고 하는 것을 나타낼 때 4시 13분 오전 이렇게 하면 좀 이상하잖아요
2:09
그래서 이 밑에 사용자 정의를 누르시고 A하고 동백을 한번 놓도록 하겠습니다. 그래서 이렇게 해놔야지 여기 밑에 보이시는 미리 보기 있죠
2:18
오전 4시 14분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된다. 그래서 날짜 표시 형식이랑 시간 표시 형식까�
2:25
이렇게 설정을 한 다음에 변경 사항 저장해 놓도록 하겠습니다. 이렇게 되면 일반 섹션에서는 설정이 다 끝났고요
2:34
그 다음에 어디로 가냐 고유 주소 섹션으로 가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고유 주소는 저희가 앞으로 블로그 글들을 써 나갈 텐�
2:42
블로그 글의 주소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예요. 그래서 여러 가지 형식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저는 이 글 이름이라고 하는 예를 선택을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
2:53
이렇게 되면 어떤 식으로 글이 보여지냐면 워플에 블로그 글을 하나 가져왔는데 보시다시피 주소가 앞에 wplaybook.com이라고 하는 게 나오�
3:03
슬래쉬가 있는 상태에서 글 제목에 해당하는 요게 나오게 됩니다. 그래서 저는 wplaybook.com, 그 다음에 슬래쉬, 그 다음에 여러분의 글 포스트 URL이 바로 나오는 것을 선호해요
3:17
그리고 또 하나 주의점, 이 글에 대해서 URL을 한글로 설정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
3:23
그런데 개인적으로 저는 한글보다는 영어 URL을 사용을 해서 만드시는 게 훨씬 더 좋다고 생각을 해요
3:30
이유는 뭐냐면 이 글을 여러분이 카톡이나 여러 SNS에다가 공유를 할 때 한글 URL들은 못생기게 나옵니다
3:39
깨져서 변환이 되기 때문인데요. 그런 이유에서 저는 영어 주소를 선호한다 라는 것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
3:47
다른 분들 중에서는 한글이 더 SEO 측면에서 좋다 생각하셔서 한글로 쓰시는 분들도 계시는�
3:54
개인적으로 그렇게 SEO 측면에서 영향을 많이 준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. 깔끔하게 그냥 영어 주소로 써놓으면 여러 가지 플러그인도 설치할 필요도 없�
4:05
다른 분들이 그냥 이 URL 그냥 복사해서 공유해 줄 때도 깔끔하게 너무 잘 나오는 것 같아�
4:10
URL 주소는 영어로 한다. 꼭 지켜주셨으면 좋겠습니다. 그래서 이것도 넘어가 볼게요. 고유 주소 구조 글 이름으로 설정을 한 다음에 밑에 변경사항 저장하도록 하겠습니다
4:24
그럼 고유 주소도 저희가 끝났고요. 그 다음에 이제 넘어갈 곳은 어디냐. 토론 섹션으로 한번 가볼게요
4:30
이 토론 섹션은 뭐냐. 블로그에 댓글을 달 것인가 말 것인가가 참 여러가지 의견이 분분한 그런 토픽입니다
4:39
근데 저 같은 경우에는 블로그 댓글은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. 그래서 여기 지금 첫 번째 기본글 설정에 있는 이 세 가지 있는 �
4:47
다 그냥 체크 해제를 해주시면 좋겠습니다. 특히나 이 마지막 것이 세 글의 사용자가 댓글 달기 허용이라고 하는 건데요
4:56
얘를 해제를 해주셔야지 댓글 기능이 완벽하게 없어지게 됩니다. 댓글을 없애는 이유는 댓글이라고 하는 시스템이 존재하면 좋은 점은 무엇이냐
5:06
우리 글을 읽은 사람들이 댓글을 달고 그 댓글에 저희가 답변을 하게 되�
5:12
나중에 그 사람이 다시 한번 저희 블로그를 찾아올 수가 있겠죠. 그래서 그 재방문 효과 때문에 댓글이 중요한 측면이 있는데요
5:21
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점들이 뭐가 있냐면 워드프레스에는 댓글이 독자에게서부터 달리지만 스팸 댓글이 진짜 많이 달려요
5:29
그래서 여러분의 글이 많으면 많을수록 여러 글에 걸쳐가지고 스팸 댓글이 달리기 시작할 겁니다
5:36
그거 지우는 것도 일이 돼버려요.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우리가 수익화 블로그를 운영을 한다는 것�
5:43
사실 우리 블로그에 있는 정보를 어떤 방문자가 와서 소화를 하고 의문점이 해결이 되었을 때 광고를 클릭해서 나간다거�
5:53
아니면 그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 홈페이지에 방문하는 동안에 광고 노출이 되는 그걸로서 이제 수익을 얻는 걸로 저희는 그친다 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�
6:05
댓글 많으면 홈페이지 용량도 늘어나고 댓글 지우는데도 시간 걸리고 댓글에 답하는데도 시간 걸리�
6:12
불편한 점이 더 많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이거를 해제를 하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밑으로 쭉 내려서 여기도 변경사항 저장 누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�
6:23
자 그러면 이제 설정 파트에서 일반, 그 다음에 뭐 토론, 고유 주소 여기까지 했어요
6:29
또 마지막에 이제 볼 것은 리사이즈 이미지 업로드라고 하는 요 부분인데요. 얘는 그냥 일반적인 기본 설정에 들어있는 게 아니라 사실은 제가 올백 테마 설치를 하면�
6:41
여러분의 홈페이지 워드프레스에 같이 딸려서 설치를 해놓은 플러그인이에요. 그래서 여기를 한번 눌러보도록 할게요
6:48
그러면 리사이즈 이미지 업로드라고 하는 플러그인의 세팅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. 그리고 여기 보시면 두 번째 맥스 하잇은 지금 1200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�
7:00
이거를 0으로 바꿔놓도록 하겠습니다. 얘는 무슨 기능을 하냐? 우리가 핸드폰 사진에서 핸드폰 사진 되게 용량 크잖아요
7:22
그래서 저희는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만약에 이미지의 해상도가 1200 이상인 애들이 들어왔을 �
7:29
자동으로 가로를 기준으로 1200을 비율을 맞춰서 조정을 해주는 그런 기능을 플러그인이 해주게 돼요
7:37
조금 이미지 사이즈 걱정에서 좀 벗어나게끔 해주는 좋은 플러그인이라고 생각을 해서 저는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
7:44
그리고 이것을 이제 1200으로 비율을 줄여줄 때 그대로 줄여주는 게 아니라 살짝 품질을 떨어뜨려서 줄여주게 됩니다
7:53
지금 100이 원본 파일이랑 똑같은 퀄리티라면 90 정도 되는 품질로 압축을 해주는 게 설정이 되어 있는�
8:01
90 정도 설정을 해주면 눈으로는 거의 표시가 안 나는 그 정도로 압축을 살짝 줄여서 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
8:09
그리고 yes라고 하는 걸로 바꿔줄 텐데 PNG 파일 자체가 보통 jpg보다는 살짝 용량이 더 크거든요
8:18
근데 그 이유가 이 PNG 파일은 투명 처리가 됩니다. 근데 이 투명 처리가 필요 없는 파일임에도 불구하�
8:24
PNG로 업로드가 되어 있을 때 이 플러그인에서는 자동으로 jpeg 파일로 바꿔주는 그런 기능을 설정을 해놓겠습니다
8:33
그래서 이렇게 업데이트 옵션 눌러볼게요. 자 이렇게 되면 지금 설정 파트에서는 저희가 할 게 다 끝났어요
8:40
그리고 이제 플러그인 섹션으로 다시 넘어가서 이 플러그인 섹션 중에 저희가 필요 없는 플러그인들은 다 지워버리도록 하겠습니다
8:48
첫 번째, 이 스팸 프로텍션 이거 있죠? 이제 필요 없습니다. 삭제하도록 할게요
8:53
그리고 이 밑에 안녕 달리라고 되어 있는 거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. 그리고 지금 이렇게 4개만 남은 건�
9:00
이 4개 중에서 여기에 업데이트가 떠있다 라고 하면은 다 업데이트를 해주시길 바랍니다
9:06
그러면은 저희가 꼭 필요한 플러그인 4개랑 그 다음에 설정은 마친 상태가 되겠네요
9:13
그 다음에 할 게 뭐냐 랭크메스라고 하는 SEO를 우리 워드프레스랑 연결을 하는 과�
9:20
작업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제가 초기 세팅을 좀 진행을 해보니까 여기를 한번 비활성화를 했다�
9:26
다시 활성화를 해야지 좀 잘 작동하더라고요. 그래서 비활성화 한번 눌르고 활성화 다시 한번 누르도록 하겠습니다
9:33
자 그러면 랭크메스 SEO라고 하는 이게 이제 나오고요. 커넥트 프리 어카운트라고 되어 있죠
9:39
그래서 커넥트 어카운트를 누르도록 할게요. 그러면 로그인 투 랭크메스라고 하는 게 나오�
9:45
이 중에서 두 번째 가장 만만한 구글 버튼 눌러서 구글 계정이랑 연결을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
9:51
그 다음에 자기의 계정 누르시면 되겠죠? 계정 선택을 하시고 계속이 만약에 나온다면 계속까지 누르셔�
9:58
이 플러그인 액티베이션 이 화면을 띄우시면 됩니다. 이 플러그인 액티베이션 화면이 나오면은 되�
10:04
이 중에서도 또 OK 액티베이트 나무 이 버튼을 누르도록 하겠습니다. 자 그 다음에 Advanced 이렇게 되어 있�
10:12
Start Wizard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. 아마도 여러분은 시작 마법사 아마 이렇게 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
10:18
아마 위치는 똑같을 거니까 그대로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그래서 Start Wizard, 시작 마법사 여기 버튼 클릭을 하시고요
10:25
여기 이제 웹사이트의 정보에 대한 것들을 저희가 입력하는 란이 나올 겁니다. 근데 이거 자체는 일단은 그대로 놔두�
10:34
저희가 이 랭크메스 플러그인과 저희 설치한 워드프레스만 연결을 오늘은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
10:42
그래서 밑으로 쭉 내려보시면 Save and Continue라고 이 파란 버튼이 있어요. 그래서 이거 클릭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10:48
자 그러면은 구글의 연결이라고 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. 여기는 이거 커넥트 구글 서비스 누르지 마시고 밑으로 내려가도록 하겠습니다
10:57
왜냐하면 나중에 제가 구글 서치 콘솔이랑 어떻게 연결하는지 따로 영상을 찍어드릴게요. 그래서 왼쪽에 있는 스킵 스탭이라고 하는 거 이거 누르도록 하겠습니다
11:07
자 그 다음에 사이트맵 관련한 것들 쭉 나오는데 이번에는 오른쪽에 있는 세이브 앤 컨티뉴이라고 하는 거 눌러보도록 할게요
11:15
자 그 다음에 SEO Twix 라고 되어 있는데 여러분은 아마 한글로 나와 있을 겁니다
11:22
똑같은 내용이니까 밑으로 해서 Save and Continue 누르도록 할게요. 자 그러면 Your Site is Ready 뭔가 완료됐다는 느낌의 어떤 화면이 나올 테�
11:31
왼쪽 버튼 보시면은 알림판으로 돌아가기 라고 하는 게 아마 뜰 거예요. Return to Dashboard 라고 하는 것을 눌러서 다시 WordPress 화면으로 넘어오도록 하겠습니다
11:42
자 그러면 랭크메스 SEO라고 하는 플러그인의 메뉴가 활성화가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
11:48
그래서 여기 옆쪽에 이렇게 보시면은 랭크메스 SEO 관련 메뉴들이 쭉 있고 이 오른쪽에도 메뉴들이 있네요
11:57
이 랭크메스 SEO에 설정하는 것들은 제가 따로 영상을 만들어야 될 만큼 엄청 많은 작업이 필요하거든요
12:05
그래서 오늘은 랭크메스랑 워드프레스를 연결해 놓은 것까지만 하고 다음으로 진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12:11
그래서 이렇게 넘어가고요. 그 다음에 이제 뭘 해야 되냐. 지금 워플 올백 테마를 불러왔는�
12:18
보시면은 원래는 여기 위쪽에 로고가 들어가야 되고요. 그 다음에 블로그 섹션에 가보면�
12:26
블로그 안에 있는 글들 중에서 사실은 여기에 이런 썸네일이 이렇게 들어와야 되는 상태가 됩니다
12:33
테마에 딸려있는 파일이라서 사실 없어도 되는 것들이죠. 그래서 여러분이 여러분만의 파일들을 준비를 해주시�
12:40
그 준비한 것들을 어떻게 껴넣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제가 알려드릴게요. 어떤 파일이 필요한가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드리겠습니다
12:49
첫 번째 로고 파일이 필요한데요. 로고 파일은 해상도가 중요합니다. 여러분께 알려드리는 이 해상도대로 똑같이 준비를 해주시는 게 좋아요
12:58
왜냐하면 제가 이 워플 올백 테마를 만들 때 이 해상도에 맞는 테마 세팅을 해놨기 때문�
13:05
요거가 해상도가 조금 틀려지면은 핸드폰 화면을 넘어간다거나 이런 식으로 돼서 웬만하시면 똑같은 해상도에 똑같은 크기의 파일을 준비를 하셔�
13:15
첫 번째 로고 파일 390x390 두 번째 메인 페이지에 들어갈 그림 512x512
13:23
얘는 메인 페이지에도 들어갈 거고 뒤쪽에 저자 섹션에도 들어갈 겁니다 그래서 이거 어바웃 페이지 비율은 1대1로 해주고�
13:31
1024x1024를 사용을 하는데 750 정도면 무관한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썸네일에 들어갈 그림은 16대 9로 준비를 하�
13:42
유튜브에서 보통 추천하는 해상도가 1280 곱하기 720이거든요. 그래서 이런 파일을 사용하시는 것이 여러모로 쓸모가 있으실 거�
13:55
썸네일 파일은 해상도가 1280에 720을 준비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 어차피 이거 올려봤자 아까 제가 말씀드린 플러그인이 1200 이하로 줄여주게 되거든요
14:06
그래서 그렇게 하고 그 다음에 보시면은 얘는 16대 9로 봤을 때도 좀 괜찮고요
14:11
1대 1로 만약에 여기서 이렇게 끊는다. 1대 1 비율에도 잘 보이도록 제작을 해주면�
14:17
같은 파일을 여러 군데에서 써먹을 수가 있습니다. 그것도 좀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
14:22
4 kr kr
14:37
가야 될 곳이 바로 위쪽에 보이는 사용자 정의하기 라고 하는 이 메뉴입니다
14:42
이게 이제 홈페이지에 관련한 메뉴 설정을 할 수가 있는 곳이에요. 이걸 눌러보면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되죠
14:49
그래서 kr플레이북에 관련한 내용들을 바꿀 수가 있는데 그 중에서 저희는 홈페이지 정보를 바꾸는 거라�
14:56
이 사이트 아이덴티티라고 하는 이 섹션을 가보도록 하겠습니다. 자 그러면 두 개가 있죠
15:02
하나는 사이트 타이틀 앤 로고 컨트롤 그 밑에는 사이트 아이콘 선택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
15:08
사이트 아이콘 선택을 먼저 눌러볼 텐데요. 얘는 여기에다가 이 로고 파일 이렇게 드래그 앤 드랍 해볼게요
15:15
그리고 여기 대체 텍스트에다가 워플 로고 파일이라고 제가 이렇게 설정을 해놨습니다. 이 대체 텍스트는 뭐냐면 그림 대신에 보여질 텍스트를 의미하는�
15:27
시각장애인 분들이 그림을 볼 수가 없잖아요. 그래서 사실 그분들이 이용하는 프로그램들이 그림이 나왔을 �
15:34
이 대체 텍스트를 읽어서 알려줍니다. 그래서 그런 의미에서 대체 텍스트를 매번 정성들여서 써주시는 �
15:41
나중에 구글 랭킹 점수를 낼 때도 도움이 되고 방금 앞에서 말씀드린 그런 시각장애인 분들�
15:48
저희 블로그를 이용을 할 때도 훨씬 좋겠죠. 그래서 이런 것들 대체 텍스트도 좀 신경 써주셔서 작성을 하면 좋다
15:56
그래서 저는 선택을 누른 다음에요. 그 다음에 이제 자르기 건너뛰기 여기 왼쪽에 있는 이 버튼을 누르도록 하겠습니다
16:04
자 그러면 뭐가 달라졌냐면 왼쪽 부분에 저희가 방금 선택한 이 로고 파일이 들어왔고요
16:12
그리고 얘는 보시면 크롬 탭 위쪽에 이런 로고가 앞으로 보여질 것이다 라고 하는 것을 저에게 알려주게 됩니다
16:20
그리고 위쪽에 있는 사이트 타이틀 앤 로고 컨트롤이라고 하는 거 있죠? 여기를 한번 클릭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16:27
여기에 로고 선택이라고 하는 이 부분이 나오는데요. 방금 전에 올렸던 파일 다시 한번 선택을 해주도록 하겠습니다
16:34
로고 선택 누르고요. 그 다음에 여기 로고 그대로 누른 다음에 오른쪽 하단에 있는 이거 보이시죠? 선택 이거 누르도록 하겠습니다
16:42
여기 보시면 약간 밝게 보이는 부분을 로고로 선택할 거냐라고 되어 있는데 저희는 이거 전체 다 필요하거든요
16:49
그래서 이거 늘려주셔서 선택을 하셔도 되고 필요 없이 그냥 자르기 건너뛰기 누르면 됩니다
16:55
자르기 건너뛰기 누르면 이거 자체가 로고로 들어가게 되고 위쪽에 지금 이렇게 반영이 된 걸 확인할 수 있네요
17:03
이 상태에서 저희는 공개를 누르도록 하겠습니다. 홈페이지의 정보를 방문자가 볼 수 있게끔 퍼블리시를 하는 거죠
17:10
그래서 이렇게 X 누르고 나와 보면 로고가 잘 반영이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
17:16
그리고 또 하나 바뀐 게 있는데요. 위쪽에 이 브라우저를 제가 내려보면은 여기 지금 보이시나요
17:22
방금 전에 저희가 설치한 이 파비콘이 반영이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
17:26
그래서 두 가지를 했군요. 자 그러면은 로고는 일단 끝났습니다. 이제 두 번째 이 메인에 있는 이 사진을 바꿔볼 예정입니다
17:34
자 메인에 있는 사진은 말 그대로 홈페이지에 있는 것을 바꾸는 거라서 사용자 정의하기로 들어가는 게 아니�
17:41
현재 해당 페이지를 편집하는 이 페이지 편집 메뉴로 들어가야 돼요. 페이지 편집을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
17:50
편집기 화면이 나오면서 방금 전에 봤던 그림들, 글자들을 편집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든요
17:57
저희는 지금 현재 하고 싶은 게 뭐냐? 이 그림을 교체를 하고 싶은 겁니다
18:01
그래서 여기를 왼쪽 클릭을 하게 되면 이 그림에 해당하는 어떤 내용들이 오른쪽에 이렇게 불러지게 됩니다
18:07
만약에 이게 화면이 안 보이신다라고 하면 이 위쪽에 검정색 버튼이 있거든요. 이게 지금 블록 아이콘인데 이거를 클릭을 하시면 해당이 되는 블록의 설정 부분을 저희가 볼 수가 있습니다
18:21
그래서 저희는 왼쪽 이미지를 클릭을 하고 여기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지금 현재 여기 Edit Image 버튼이 있죠? 여기를 클릭을 해볼게요
18:29
그리고 여러분이 교체해야 할 그 그림을 업로드를 하는 거죠. 저는 그냥 파일 그대로 그냥 쓰도록 하겠습니다
18:37
그래서 이렇게 올려주고 그 다음에 대체 텍스트에다가 이렇게 해놓을게요. 그리고 선택 누르도록 하겠습니다
18:45
자 그러면은 이게 이제 바뀌게 됐고요. 하나 이제 체크할 것은 만약에 여기 맥스 이미지 위드라고 하는 �
18:51
350로 안 돼있다 라고 하면은 350으로 설정을 해 주셔야지 됩니다. 이것도 제가 지금 맞춰놓은 거예요
18:59
그래서 512, 512에 350으로 맞춰 주셔라. 그리고 업데이트를 해놓겠습니다. 자 이렇게 업데이트를 한 다음�
19:06
로고 부분 눌러서 빠져나오겠습니다. 그러면은 이런 대시보드로 다시 나가게 되고 사이트 눌러가지고 다시 보�
19:14
여러분이 올려놓은 그런 이미지로 바뀌게 될 거예요. 자 그러면 로고 끝났고 그림 끝났�
19:22
어바웃 페이지로 한번 가보도록 하겠습니다. 똑같이 어바웃 페이지에 있는 그림을 저희가 바꿔야 되니�
19:27
역시나 어바웃 페이지로 가서 위쪽에 있는 페이지 편집이라고 하는 거 있죠? 이거를 눌러볼게요
19:34
해당하는 이 페이지를 편집하는 부분이 또 나올 테고 이제는 이 워플 그림을 클릭을 한 다음�
19:40
오른쪽에 있는 이거를 클릭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그 다음에 해당되는 그림, About Page 그림을 놓�
19:49
여기다가 About Page 그림 이런 식으로 설정을 해놓도록 하겠습니다. 그 다음에 선택을 눌러주도록 할게요. 선택 누르�
19:57
그러면은 이미지 사이즈 해가지고 1024, 1024로 이렇게 들어가 있네요. 이거 저희가 하나만 설정을 해볼 텐데 어떻게 하냐
20:07
Full이라고 하는 이거를 오른쪽을 클릭을 하게 되면은 1024, 1024 대신에 조금 더 줄여서 768로 바꿔줄 수가 있습니다
20:16
그래서 미디엄 라지 라고 하는 것으로 바꿔줄게요. 그 다음에 이제 추가적으로 해야 될 �
20:21
max 이미지 width라고 하는 것을 400으로 바꿔주도록 하겠습니다. 원래 400으로 제가 설정을 해놔서 맞춰놓은 상태거든요
20:28
그래서 이거를 400으로 맞춰준 다음에 여러분이 또 알아야 되실 게 뭐냐면 카덴스에서 지금 제공하는 이 이미지 블록�
20:37
PC에서 보여지는 그림 파일 그리고 태블릿에서 보여지는 그림 파일, 핸드폰에서 보여지는 그림 파일의 크기를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어요
20:46
그래서 워플 올백 테마를 제작을 할 때 어떻게 맞춰놨냐. 여기 지금 3개 아이콘이 보이죠
20:53
첫 번째부터 PC, 태블릿, 핸드폰 이런 순입니다. 그래서 PC에서는 400으로 너비를 조정을 설정해줬�
21:00
맨 오른쪽에 있는 이 핸드폰으로 넘어간 다음에 얘는 300으로 설정을 해주도록 하겠습니다
21:06
이렇게 해야지 핸드폰에서 볼 때랑 PC에서 볼 때랑 좀 더 예쁘게 보여지더라고요
21:12
그래서 제가 원래 세팅해놓은 숫자들로 교체를 해놓고 업데이트를 누르도록 하겠습니다. 업데이트가 끝났네요
21:19
여기 보시면 데스크탑 다시 가서 이 데스크탑 편집 화면으로 넘어왔어요. 그리고 페이지 설정 끝났으니까 왼쪽에 있는 로고 버튼 눌러서 다시 빠져나갈게요
21:29
이제 뭘 저희가 했냐. 메인 끝났고 어바웃에 있는 이거 끝났죠. 그리고 다음에 해야 될 게 뭐냐
21:36
1 2 3 4 4
21:49
다시 알림판으로 돌아가서 글 섹션으로 한번 가보도록 하겠습니다. 글 섹션에 보시면 이 모든 글이라고 되어 있죠
21:56
모든 글 한번 눌러볼게요. 그러면 지금 현재 있는 이 5개 글이 나올 테�
22:02
이것들을 선택을 한 다음에 하나만 남겨놓고 나머지 다 선택하고 일괄작업의 아래 화살표 여기를 누른 다음�
22:09
휴지통으로 이동 선택 후 적용 누르면 샘플포스트 1 빼고는 다 휴지통으로 들어갔네요
22:16
깔끔하게 됐고 여기서 샘플포스트 제목을 눌러서 편집 화면으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. 자 이제 보시면 포스트에 대한 설정 파트가 또 오른쪽에 이렇게 뜨게 되는�
22:28
지금 여기 있는 이 블록 이거를 클릭을 한 다음에 그 위쪽에 보이는 글과 그 다음에 블록이라고 하는 이 부분 중에�
22:37
글을 설정을 하게 되면 해당 글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볼 수가 있습니다
22:42
그 중에서 쭉 밑으로 내려 보시면 이 특성 이미지라고 하는 게 있거든요
22:47
이 특성 이미지라고 하는 것이 앞에서 저희가 블로그 포스트 섹션에서 보여지는 그 썸네일을 설정하는 부분이에요
22:55
그리고 여기에다가 넣어놓은 이미지들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도 보이고 그 다음에 카톡으로 공유했을 때도 이렇게 뜨는 그 그림을 의미합니다
23:04
그래서 썸네일이죠. 저희는 교체를 누를 거고 준비해 놓은 파일 하나 넣어놓도록 하겠습니다
23:10
이렇게 16대 9로도 잘 보이고 그 다음에 1대 1로 이렇게 잘랐을 때도 좀 예쁘게 나오죠
23:16
여기다가 테스트 썸네일 설정을 해놓고 저장을 해놓도록 하겠습니다. 특성 이미지 설정. 그러면 이런 식으로 잘 들어간 걸 확인할 수 있네요
23:26
그리고 위쪽에 가서 업데이트 누르도록 하겠습니다. 자 이제 업데이트가 끝났고 다시 위쪽 로고 눌러서 홈페이지로 한번 가보겠습니다
23:35
블로그 섹션 누르면 썸네일이 잘 들어간 걸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. 저희가 이제 마지막으로 해야 되는 게 뭐냐 샘플 포스트 한번 눌러볼게요
23:43
샘플 포스트 눌러보시면 오른쪽에 이 저자블록에 있는 요것도 자기 프로필 사진이라든지 아니면 다른 어떤 로고가 여기에 뜨면 좋겠죠
23:53
그래서 요거는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한번 볼게요. 자 왼쪽에 있는 알림판으로 다시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
23:59
그 다음에 외모 섹션으로 한번 가볼텐데 오른쪽에 위젯이라고 하는게 있습니다. 위젯이라고 하는 것으로 저희는 들어가 볼거에요
24:08
위젯 눌러서 들어가 볼게요. 그리고 여기 X 눌러주시고 지금 보면 사이드바 1이라고 하는�
24:15
블로그 페이지를 눌렀을 때 오른쪽에 보이는 블록들이 이렇게 떠있구요. 그 다음에 여기 위쪽에 화살표 눌러서 접어주�
24:22
두 번째 사이드바 툴을 한번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보시면 저자 블럭이 보이게 되�
24:28
이 왼쪽을 클릭을 하게 되면 이 블럭에 대한 어떤 설정 정보가 오른쪽에 이렇게 뜨도록 되어 있네요
24:35
지금 보시는 바와 같이 이 블럭은 인폿박스라고 하는 카덴스 블럭입니다. 그래서 여기에 있는 정보들을 저희가 수정을 할 텐�
24:43
첫 번째 뭘 수정을 할 거냐 이 지금 세 가지 이렇게 되어 있는 애들 중에�
24:49
가운데 스타일 섹션으로 한번 넘어가 보겠습니다. 스타일 섹션을 클릭을 하게 되면 이 밑에 쭉 내려 보시�
24:55
여기에 미디아 세팅이라고 있어요. 그래서 여기를 눌러보시면 파일이 지금 여기에 들어가 있게 되네요
25:01
그래서 Edit Image 누르고요. 이번에는 앞에서 메인 페이지에 있던 이 그림 파일을 한번 선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25:09
그래서 여기도 선택 누르면 그림 파일이 바뀌게 되고 이 Max Image Width도 300으�
25:16
설정해놓은 거 그대로 잘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 상태에서 다시 위쪽으로 올려�
25:21
제너럴 섹션이 있습니다. 제너럴 섹션으로 한번 가볼게요. 이 인폿박스는 특별한 기능이 있는데요
25:28
뭐냐면 이 더 알아보기라고 하는 이런 거 이 인폿박스를 클릭을 하면 내가 원하는 아솔 페이지로 넘어가게끔 링크를 걸어놨습니다
25:37
그거를 어떻게 알 수 있냐 이 오른쪽에 링크라고 되어 있는 이 부분�
25:41
지금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 이 부분 있죠. 이 홈페이지로 가게끔 설정을 해놓은 상태예요
25:47
wplaybook.com은 올백 테마 페이지거든요. 근데 저희는 우리 페이지의 링크로 변환을 시켜줘야지 됩니다
25:55
그래서 이 연필 버튼 누르시면 클리어라고 하는 이 조그만 X버튼이 뜨게 돼요
26:00
그래서 이거 클리어 눌러서 페이지를 정보를 지워버리도록 하겠습니다. 그리고 여기다 이제 뭐라고 쓰냐
26:06
About이라고 한번 써볼게요. About이라고 쓰면 우리 홈페이지에 있는 About 페이지가 검색이 자동으로 됩니다
26:14
그래서 이거를 누른 다음에 선택을 해주면 Arthur 블록을 누르면 저 주소로 가는 거죠
26:19
그래서 여기도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 주도록 하겠습니다 자 이제 업데이트가 잘 된 것 같아�
26:24
그래서 한번 다시 이 사이트로 한번 가보고요 왼쪽 위에 눌러서 블로그 섹션 가본 다음�
26:31
샘플 포스트 눌러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뭔가 잘 반영이 됐죠 그런데 만약에 여러분의 홈페이지에 이게 만약에 반영이 안 되�
26:41
그냥 기존에 있던 그 파일이 그대로 나온다? 라고 하면 해주실 것이 있는�
26:46
이 위쪽에 마름모에 해당하는 어떤 메뉴가 아마 떠 있을 겁니다. 얘가 이제 라이트 스피드 캐시 플러그인 메뉴인�
26:54
마우스로 올려보시면 펄지 올이라고 하는 게 있습니다. 펄지 올을 한번 눌러주세요. 그리고 다시 그 페이지를 F5를 눌러가지�
27:02
새로 고침을 하시거나 아니면 다시 이 블로그로 빠져나가셨다가 샘플 포스트로 이제 돌아오시�
27:09
이 아스턴 페이지가 잘 반영이 될 겁니다. 펄지 올이라고 하는 것은 뭐냐 그러�
27:14
강제로 우리 홈페이지의 내용을 업데이트가 안 돼 있는 게 있으면 최신으로 바꿔줘라 라고 하는 거예요
27:21
그래서 강제를 리프레시를 한번 시켜주시면 이제까지 고친 것들 중에 미처 홈페이지에 반영이 안 된 게 반영이 되게끔 해주는 기능입니다
27:31
그래서 한번 참고해 주세요. 그래서 저희가 오늘 한 거는 뭐냐. 위쪽에 있는 로고 바꿨고요
27:37
로고 브라우저 위에 있는 파비콘도 설정을 해줬고요. 메인 그림도 바꿨고요. 많이 했어요
27:44
블로그 섹션에 가서 블로그에 있는 썸네일도 설정을 해놨고요. 그 다음에 포스트 들어가면 이 아서 그림도 바꿔놨고요
27:54
그리고 이거 클릭을 한번 해볼까요? 이거 클릭을 하게 되면은 어바웃 페이지로 넘어가게끔 링크도 설정해줬�
28:00
어바웃 페이지에 있는 그림도 아마 여러분은 지금 현재 업데이트가 되셔야지 됩니다. 정말 여기까지 고생 많으셨고 설정하는 부분이 남았는�
28:11
랭크메스 설정하는 것도 있고 그 다음에 라이프스피드 캐시라고 하는 최적화 플러그인들 설정을 해�
28:18
저희 홈페이지를 빠르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. 그것도 시간이 걸리니까 좀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
28:24
오늘 영상의 대부분의 것들을 사실 저랑 얘기하면서 제가 해드릴 수 있어요. 그래서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�
28:30
제 링크 사용해서 구매를 해주셨다면 초기 세팅 신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그러면 미팅에서 또 뵙도록 하죠
28:38
다음에 또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. 바이바이! 다음 영상에서 만나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