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일 1포?? 정성포(정성들인 포스팅)와 검색엔진 최적화 (SEO)의 중요성 (feat. 워드프레스 vs. 티스토리)
9K views
Jun 18, 2024
여러분 정성글과 SEO는 무적입니다. 영상 속 글 주소는 "옵시디언 플러그인" 검색해보시면 됩니다. :)
View Video Transcript
0:00
네 안녕하세요 여러분, 워플의 이삭입니다
0:07
자 오늘은 저의 어찌 보면 영업비밀이라고 할 수도 있고, 제가 여러분한테 말씀드리면 저의 수입에 좀 타격이 있을 수도 있는 그런 얘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
0:18
저는 어찌 보면 여러분에게 저의 팔과 다리를 내줬는데, 이렇게 제가 공개함으로써 여러분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그런 영상을 한번 찍어보도록 하겠습니다
0:29
제가 지금 현재 운영하고 있는 슬기로운 통계 생활에서 여러가지 그 블로그 글이 있지만, 그 중에서 계속 1순위를 유지하고 있는 그런 키워드 중에 하나 글을 소개를 해드리고자 합니다
0:41
어떻게 해서 제가 1등이 되었고, 여러분이 알고 있는 그런 SEO라고 하는 게 왜 중요한지, 그리고 정성글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해보고자 해요
0:52
보겠습니다. 자 제가 구글에다가, 여러분도 똑같이 쓰셔도 되겠죠? Obsidian 플러그인이라고 하는 것을 검색을 하게 되면은 이렇게 제일 처음에 구글서치 검색표가 저에게 나옵니다
1:04
이건 저에게만 나오는 거예요. 그리고 지금 보면은 저의 글이 현재 Average Position이 1이니까는 첫 번째 글이라고 하는 거고, 바로 밑에 내려 보면은 Obsidian 플러그인 추천 베스트 5라고 하는 제가 쓴 글이 지금 나오게 됩니다
1:19
이 글은 아마도 제가 기억하기로 거의 쓰자마자 쭉 올라가서 1등을 차지하고, 1등 차지한 후로는 거의 안 떨어지는 글인 것 같아요
1:28
Last 7 Days니까 지난 일주일이고, 2주 전과 비교해봤을 때 No Change니까 2주 전에도 1등이었습니다
1:36
그리고 28일 기준으로 봐도 평균 1.1, 1등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거고, 91로 잡아봐도 평균이 2.2입니다
1:45
그래서 초반에 썼을 때 랭킹이 떨어졌을 때 말고는 거의 최상단에 꽂힌 다음에 떨어지지 않고 있는 글이라고 하는 거죠
1:54
자 그러면 Obsidian 플러그인이라고 하는 키워드를 봤을 때 제 밑에는 뭐가 있는지 한번 볼게요
2:00
Obsidian 총정리 글이라고 하는 T스토리고요. 이토록신 Obsidian이라고 하는 T스토리 두 개의 글이 제 기억으로는 이 Obsidian 플러그인이라는 글이 아마도 1등이었던 것 같고
2:13
이 글이 아마 2등이었다가 올라갔었던 건 기억이 안 납니다 잘. 아무튼 1등에서 떨어지지 않던 것만 기억하고 밑에는 어떤 글이 있는지 기억 안 하는..
2:25
아무튼 자 지금 보면 T스토리 두 개의 블로그 글과 제 글이 무슨 차이가 있길래 왜 제 글은 1등에서 움직이지 않고 있는지를 한번 분석을 해볼게요
2:36
일단 3등 글로 한번 가보도록 하겠습니다. 3등 글 가보면 2021년 10월에 작성이 된 거고
2:43
그리고 이 블로그 자체가 지금 보면은 그래도 하루 천 명이 방문할 정도로 Obsidian이라고 하는 토픽에서는 엄청 유명한 블로그거든요
2:54
이 블로그 자체에 Obsidian과 관련한 글들이 되게 많이 있습니다. 그래서 너무 저도 좋아하는 블로그인데
3:01
아무튼 되게 잘 쓰셨어요. 그림도 되게 많고, 각각의 제목도 잘 정리가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
3:09
자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번 글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. 2번 글을 보면은 이렇게 되어 있어요
3:15
처음에 이미지 나오고, 그 다음에 밑에 이런 식으로 뭔가 간단하게 태그를 달지도 않았고
3:22
상대적으로 엄청 간단하게 자기 기록용으로 올려놓은 글이 위에 올라와 있습니다. 저는 개인적으로 왜 위에 올라가 있을까 생각을 해봤었는데
3:31
상대적으로 이 글에 쓴 날짜가 23년도 4월이에요. 그러니까 이 전에 3등보다는 훨씬 더 최근 정보라고 하는 것이죠
3:41
그래서 그런 측면에서 구글이 내용이 부실해도, 3번째보다는 부실해도 위로 올려주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
3:49
그리고 대망의 제 거 글은 들어가면 어떻게 되어 있는가 보겠습니다. 제 거 글은 여기에 아마도 여러분이 들어가면 광고가 뜰 거예요
3:58
그리고 제 글은 이렇게 생겼습니다. 뭔가 감이 오시나요? 어떤가요? 여러분이 보시기에 딱 봐도 3개 중에서는 무조건 완전 정성포 아닌가요
4:08
자 그리고 저는 그래서 가장 1등 상단으로 꽂히기 위해서는 하나의 글을 엄청 정성 들여서 써야 된다는 주의에요
4:16
하나의 글을 긴 시간을 들여서 정성포를 만들 수도 있는데 저는 이거를 작성을 할 때 조금씩 조금씩 썼던 것 같아요
4:24
그러니까 플러그인 5개를 한번 썼다가 그 다음에 이제 또 제가 유용한 게 있으면 또 추가해서 넣�
4:32
또 추가해서 넣고 이런 느낌이에요. 그래서 이제 옵시디언 플러그인을 생각을 했을 �
4:38
내용이 변했다고 하면 저는 이 글을 항상 업데이트를 해놓습니다. 저 역시도 이거를 가끔씩 보기도 하거든요
4:44
그래서 남들이 그냥 봤을 때 어? 이 옵시디언 추천 글 되게 좋구나라는 생각이 들�
4:50
그와 동시에 옵시디언 이거 써놓네 뭐야? 어? 슬기로운 통계생활? 슬기로운 통계생활은 뭐지? 하면�
4:56
자연스럽게 제가 블로그나 링크 이런 걸 클릭을 해서 저를 모르는 사람들이 저를 찾아오게끔 하�
5:03
가장 큰 저의 전략은 뭐냐면 정성포입니다. 그래서 한 번 딱 들어온 사람�
5:08
어? 이 새끼 뭐지? 라고 하는 그 생각이 들 정도로 정보를 다 때려 박아놓는다
5:14
라고 하는 게 이제 저의 전략이고 이것이 제 생각에는 잘 먹히고 있는 �
5:18
이것 말고도 제 블로그 포스팅 중에 1등을 차지해서 내려오지 않고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아요
5:25
그리고 이렇게 정성포가 딱 된 상태에서 제가 여러분한테 그 말씀드리는 이 구글 코어 웹 바이탈 점수가 왜 중요한가
5:35
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에 또 나옵니다. 자 기본적으로 구글은 랭킹을 결정을 할 �
5:41
도메인 어허리티라고 하는 요소를 되게 중요하게 봅니다. 이 도메인 어허리티라고 하는 것은 무슨 개념이냐�
5:48
내가 지금 사용하는 이 스태티스틱 스플레이 북이라고 하는 게 얼마나 구글 입장에서 봤을 때 신뢰할 만한 도메인인가
5:55
라고 하는 것을 평가하는 점수예요. 그리고 그 평가하는 점수를 어디에서 알 수 있냐
6:00
href라고 하는 되게 유명한 사이트거든요. 이거는 무조건 꼭 알고 계셔야 되는 사이트입니다
6:06
href라고 하는 이 사이트는 구글 다음으로 전 세계에 있는 모든 웹사이트를 다 크롤링한 그 사이트로 유명해요
6:14
그래서 구글에서 랭킹을 매기는 거랑 href에서 그 랭킹을 매기는 거랑 거의 흡사하다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
6:22
왜냐? 구글이 긁으면 href도 긁는다. 라고 하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엄청 크롤링을 해�
6:28
db가 엄청 큰 정확한 웹 서비스입니다. 거기에서 이제 프리 SEO 툴로 제공하는 것 중�
6:35
웹사이트 어허리티 체커가 있어요. 체커 들어가서 이 staticplaybook.com을 눌러보잖아요. 그러면 제 거 도메인 점수는 2.8이에요
6:44
그리고 동일하게 제가 2등 거 도메인 어허리티 체커랑 3등 거 도메인 어허리티 체커를 해봤습니다
6:50
tstoryblog는 도메인 레이팅이 87이 기본입니다. sgtstory.com이라고 하는 애는 여기 보면 tstory.com이라고 하는 게 메인 도메인 네임이거든요
7:01
그러니까 구글 입장에서 봤을 때는 어? tstory.com? 이게 괜찮은 애잖아. 믿을 만한 도메인이잖아
7:07
라고 되는 거예요. 그래서 거기에 회원 가입을 해서 글을 써서 발행을 받은 이 s-g
7:14
얘는 이제 tstory의 서브 도메인으로 들어가서 도메인 레이팅이 이렇게 좋게 나오는 거예요
7:19
그러면 사실 tstory는 어찌 보면 도메인 레이팅 자체가 되게 좋아서 다른 그냥 웹사이트랑 비교했을 때�
7:28
tstory가 당연히 위로 올라가야 돼요. 먼저 시작하는 그 스타트 지점이 엄청 다르기 때문�
7:33
87 도메인 레이팅을 받기가 되게 힘들거든요.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제 거는 이 tstory 두 개 글을 이기고 최상단으로 올라갔는가
7:43
이건 역시도 세 번째 글이었던 이토록슈온옵시디언이라고 하는 tstory 블로그 도메인 레이팅이 87입니다
7:50
자 보면 도메인 어퓨리티는 제 거 도메인 어퓨리티가 훨씬 낫다. 2.8이다. 그럼에도 불구하�
7:57
제가 tstory 블로그보다 훨씬 잘하고 있는 게 몇 가지가 있습니다. 첫 번째 지금 보시는 요거�
8:04
두 번째 글의 코어 웹 바이탈 점수에요. 지금 현재 tstory 서버 자체가 한국에 있어가지�
8:11
저는 이제 미국에서 이 코어 웹 바이탈을 돌리니까 실제로 코어 웹 바이탈 평가 점수�
8:17
한국에서 측정한 실제 사용자 점수는 통과입니다. 첫 번째도 통과 그리고 이거는 이제 세 번째 �
8:24
세 번째 글도 통과 제 거 글도 통과 세 개 다 코어 웹 바이탈은 통과가 됐는�
8:30
실제로 이 점수들을 보면은 코어 웹 바이탈 측면에서 tstory 앞에 2등 3등 거�
8:37
일단 검색엔진 최적화가 덜 돼 있고 86점 그리고 접근성도 56점 성능은 일단 무시한다고 치더라�
8:45
56, 186이라고 하는 요 점수를 받았고요. 그 다음에 세 번째 글 역시�
8:51
58, 186이라고 하는 이 점수를 받았습니다. 근데 제 거는 어떻게 되어 있�
8:57
제 거는 성능을 무시해도 접근성 100, 권장사항 100, 검색엔진 최적화 100 이것을 이제 만족해서 저는 항�
9:05
슬기로운 통계 생활의 모든 URL은 요거를 다 초록색으로 유지하고 있어요. 그리고 이 성능 같은 경우에는 지�
9:12
호스팅을 바꾸려고 생각 중입니다. 제가 여러분한테 말씀드린 슬통 홈페이지는 어느 정도 커�
9:18
그래도 하루 방문자 수가 천 명 이상이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블로그가 됐거든요. 그래서 이제 호스팅으로 옮기�
9:24
이 성능 점수도 이제 100, 100, 100이 나오는 거죠. 마치 워플 지금 홈페이지처�
9:29
자 그래서 요런 것이 되게 좋다. 이 점수들에 대한 이야기는 또 시작을 하면 엄청 길어지니�
9:36
저는 요렇게 세 개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비해서 잘 100점 만점을 유지를 하고 있다
9:42
그리고 정성 들여서 쓴 글을 지금 써놨다는 것입니다. 그래서 실제로 정성글과 그 다음에 요 점수를 잘 관리하�
9:51
티스토리 글들을 이길 수 있다 그리고 떨어지지 않는다 라고 하는 것을 기단이 글뿐만이 아니�
9:58
다른 여러 개의 글 지금 현재 슬통에 있는 여러 개의 글이 포지션 1등을 유지하고 있�
10:04
제가 이 정도는 내가 써도 괜찮겠는데 라고 하는 그런 글들을 쓰면은 그래도 상단에 잘 올라가요 지�
10:12
그래서 제가 뭐 이게 정답이다 라고는 할 수 없지만 워드프레스를 시작을 하면�
10:18
여러분이 가져가야 되는 전략 중에 이러한 전략도 있구나는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
10:24
많은 분들이 1일 1포 이런 거 많이 하잖아요 근데 저는 좀 그거는 아닌�
10:30
라는 생각이 듭니다. 왜냐 1일 1포를 해서 결과가 좋게 나오는 사람도 있�
10:35
반대로 외국 이제 블로그 글이나 블로거들이 이제 이야기하는 그런 댓글들 이런 것도 읽어 보면�
10:42
일주일에 두 편 정도만 써도 괜찮다 라고 하는 의견도 상당히 많아요 그래서 저는 지금 현�
10:50
가져가고 있는 전략이 일주일에 두세 편 정도 정성글을 쓴다가 저의 전략입니다. 그러면 웬만하�
10:58
이 1일 1포가 넘쳐나는 이 한국 블로그 시장에서는 제 거 글이 쓰면 쓰는 대�
11:04
족족 1등으로 올라가더라 라는 겁니다. 아무튼 저는 저의 전략을 여러분한테 이렇게 깠습니다
11:11
이거를 보신 여러분은 저에게 구독을 내주십시오. 그러면 다음에 또 더 유익한 영상으로 뵙도록 하죠
11:19
바이 바이 으 으 으 으 으 �
#Blogging Resources & Services
#Marketing
#Search Engin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