갑자기 애드센스 수익이 2월 들어서 반토막이 났습니다. 여러분도 아마 동일 현상을 겪고 계실 것이라 생각하고, 어떻게 앞으로 운영해 나가야 할지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. 현재 애드센스를 승인 받고 운영하지 않고 계신 여러분들도 꼭 알고 방향 잡으시기 바랍니다.
워플 홈페이지 바로가기
https://wplaybook.com/
워플 초기세팅 서비스 바로가기
https://wplaybook.com/service
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전 꼭 알고 있어야하는 지식들
https://wplaybook.com/how-to-start-wordpress-blog/
Show More Show Less View Video Transcript
0:00
네 안녕하세요 여러분 워플의 이삭입니다
0:07
오늘은 좀 급하게 제가 영상을 찍고 있는데요. 2월부터 제 애드센스의 수익에 엄청나게 큰 변화가 지금 벌어지고 있는 것 같아��
0:17
아마도 여러분도 똑같은 경험을 하시고 계시고 도대체 무슨 일이야?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을 것 같아가지��
0:24
나름의 분석과 앞으로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오늘은 ppt를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
0:33
2024년 2월 AdSense 수익 분석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해볼게요. 2024년 2월부터 저의 슬기로운 통계생활에 AdSense 수익이 반토막이 났습니다
0:44
슬프죠? 아시는 분은 아실 수도 있겠는데 작년 23년 11월에 구글이 아주 중요한 정책 변화에 대해서 발표를 했었죠
0:53
11월에 구글은 무슨 얘기를 했었냐. AdSense 지급 방식을 Per Impression Payment 정책으로 바꿀 것이다
1:03
이야기를 했었고 실제로 제가 1월 정도에 저의 AdSense 수익 분석한 걸 좀 봤는��
1:09
그때부터 새로운 바뀌는 정책이 적용되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어요. 그런데 이제 2월 특히나 어제와 지금 현��
1:18
본격적으로 적용이 된 것을 제가 확인했습니다. 그래서 이 Per Impression Payment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여러분이 좀 알고 계셔야��
1:26
앞으로 블로그를 운영을 할 때 어떻게 운영하실지 좀 감이 잡히시겠죠. 이 Per Impression Payment라고 하는 것은 광고가 블로그에 얼마나 노출되었는가에 따라서 돈을 지급받는 방식입니다
1:40
그래서 보통은 브랜드를 만들어서 이 브랜드를 여러 사람들한테 알리고 싶다라고 했을 때 많이 쓰는 방식이고요
1:47
그 다음에 기존의 AdSense에서 주로 사용이 되던 클릭당 지우울 방식과는 좀 상반된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
1:57
그래서 구글 AdSense 홈페이지에서 여러분한테 알려주는 지표가 있습니다. 그 중에 이제 저희가 이야기했던 그 정책 변화와 관련이 된 지표가 두 가지가 있는��
2:07
하나는 CPC, 하나는 CPM이라고 하는 것입니다. 그래서 이 두 개에 대해서 알아볼게요
2:13
자 CPC라고 하는 것은 Cost Per Click이라고 하는 것의 줄임말이고 클릭당 비용을 말하는 겁니��
2:20
그래서 광고가 클릭될 때마다 광고주, 광고를 실제로 하는 사람들이 얼마를 지불하는가에 대한 이야기예��
2:28
그래서 여러분의 블로그에 사람들이 이렇게 블로그 글을 읽다가 광고를 하나 클릭했다라고 하��
2:36
그때 광고가 지불이 되는 거죠 그러면 CPC라고 하는 것을 CPC CPC
2:56
그래서 이 CPC라고 하는 것은 얼마나 사람들을 많이 클릭하게끔 하는가가 돈을 많이 버는 주요 수단이었어요
3:03
저는 개인적으로 이 CPC라고 하는 방식을 좋아하진 않았습니다. 왜냐면은 품질이 진짜 낮은 글이더라도 그냥 들어와서 어떤 사람이 아 뭐야 이거 볼 거 없네 했는데 광고가 옆에 보이는 거예요
3:17
그러면서 이거 한번 그냥 클릭해서 나가볼까? 해도 그 블로그는 돈을 많이 버는 거였습니다
3:22
혹은 어떤 사람이 들어왔는데 이 블로그에 광고를 클릭해야만이 글을 읽기 만드는 그런 트릭이라든��
3:29
그런 것들이 CPC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인 거죠. 그래서 저는 이 CPC 광고를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았지만��
3:37
아무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블로그 역시도 상당히 많은 수익을 이 CPC 광고에서 얻고 있었습니다
3:44
반대로 이제 CPM은 뭐냐면은 Cost for my day 라고 하는 거고 천 회 노출당 비용을 의미합니다
3:51
즉 광고주가 이제는 그 광고를 몇 명의 사람이 클릭했느냐를 따지지 않고 몇 번이나 노출되었는가를 신경을 쓰는 거예요
4:00
천 회 노출될 때마다 광고주가 지불하는 비용이라고 하는 의미고 예를 들어서 CPM이 5달러다 라고 하��
4:07
블로그에서 해당 광고가 만회 정도 노출이 됐다 라고 하면 50달러가 발생을 하는 거예요
4:13
이해되시죠? 사실 이 CPM 광고 같은 것은 클릭을 하고 말고가 상관이 없어요
4:18
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는가가 정말 중요한 거죠. 근데 중요한 건 뭐냐? 이제 앞으로 우리들의 블로그에는 거의 100% 가까이 CPM 광고가 달린��
4:30
라고 하는 게 정말 중요한 정책입니다. 그래서 24년 1월 저희 슬기로운 통계생활 제가 운영하는 블로그��
4:39
수익의 광고 타입을 한번 보면은 제가 이제까지 벌어들인 게 1월에 한 170달러 정도 벌어들였다고 저번에 말씀을 드렸��
4:48
그 중에서 75%가 CPC 광고였습니다 즉 클릭을 했을 때 광고를 지급을 했었던 그런 광고였��
4:56
이게 전체 수익의 75%를 차지했었던 거죠 그런데 어제는 어땠냐 어제는 CPM만 100%가 들어왔어요
5:05
즉 CPC로 들어오던 게 사라졌습니다. 그래서 기존에 한 10달러 정도 계속 찍히던 것��
5:12
CPM이 적용이 되면서 뚝 떨어져서 한 5달러 정도, 6달러 정도 찍히는 것 같습니다
5:19
근데 이제 저한테만 이런 일이 벌어진 거냐 어제만 CPM 100% 아니냐 이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겠는��
5:26
100 cpm
5:38
그래서 얘네들도 이야기를 하면서 내 지금 사이트에 에디센스 100% cpm으로 들어오네 라고 하면��
5:45
진짜 오늘부터 적용이 됐나보다 라는 이야기를 계속 하더라고요. 그래서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블로그를 운영을 해야 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드려야겠죠
5:55
CPM 광고가 100%인 블로그가 된다라고 하는 것은 유명해져야지 돈을 번다라고 생각하시면 좋아요
6:04
그래서 트래픽이 높아지면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들어오면 광고 노출이 증가하겠죠. 예를 들어서 뉴스 사이트라던가 이런 이슈성 사이트들이 사실 돈을 많이 벌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
6:18
그리고 두 번째는 뭐가 좋아야 되냐. 블로그의 사용자 경험이 높아져야지 CPM 광고의 수익이 증가하게 됩니다
6:27
예를 들어서 로딩이 되게 빠르다던가 블로그를 이동하는데 메뉴가 되게 직관적으로 잘 설계가 되어 있다던��
6:35
라고 하면 사람들이 많이 블로그에 많이 찾을 거고 들어와서 블로그 글들을 여러 개 돌아다니면��
6:42
블로그 서핑을 계속 한 블로그 안에서 하는 그런 기간들이 많아질 것입니다. 그래서 이게 이제 cpm 광고가 수익이 높아지는 요인이 되고요
6:53
또 가장 좋은 것은 사실 블로그 안에 내용이 글들이 되게 좋아가지고 사람들이 그 블로그를 계속 찾을 거��
7:00
블로그가 글이 좋다라고 하는 것을 인지를 하게 되면 사람들이 다시 찾기 마련이거든요
7:06
그리고 이 글이 아니라 다른 글 역시도 계속 좋은 글들이 있다라고 하��
7:11
블로그 안에 들어와서 마치 놀이터에서 노는 마냥 계속 서핑을 하면서 광고를 계속 ��
7:17
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노출이 될 거란 말이죠. 그러면서 이제 CPM 수익이 쭉 올라가는 겁니다
7:23
그래서 로딩 빠르게 하고 내비게이션 좋게 하고 좋은 블로그 글을 가져라. 정석이죠
7:29
사실 정석대로 블로그를 키우는 사람들이 이제는 돈을 더 잘 벌 수 있는 구조가 생겼다고 저는 생각이 됩니다
7:37
정석대로 블로그 키워가세요. 그 다음에 이 전 영상이 블로그 주제를 잡블록으로 하지 말라라고 했었잖아요
7:45
테마가 있는 블로그를 운영을 할 것이 저의 세 번째 앞으로 방향입니다. 그 이유는 뭐냐면 테마가 있는 블로그는 광고주 입장에서 봤을 때 이 블로그의 이용자를 타겟팅하기가 되게 쉬워져요
7:58
예를 들어서 제가 교보문고에서 어떤 책을 판매하는 책 광고를 내고 싶은 광고주라고 해봅시다
8:05
이 책 광고를 책을 많이 살 수 있는 사람들한테 광고를 보여주는 게 광고 효율이 훨씬 좋겠죠
8:12
100 IT 100
8:24
그렇지 않습니다. 책을 판매하는 광고주 입장에서는 책을 정말로 좋아하고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이 많이 오는 블로그��
8:32
돈을 조금 더 주고서라도 광고를 보여주고 싶은 공간이 되는 거예요. 따라서 내가 책 리뷰 블로그를 한다고 하��
8:41
트래픽이 그렇게 많이 나오지 않더라도 광고주 입장에서는 얘네들은 100명이 들어와도 100명이 책을 잘 사는 사람들이 들어올 가능성이 되게 많다는 거죠
8:53
그런 경우에는 CPM의 단가가 높아지게 됩니다. 그래서 자기가 앞으로 블로그를 함에 있어��
9:01
테마가 있는 블로그를 꼭 운영을 할 것을 저는 강력히 추천드립니다.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거는 양날의 검인데요
9:09
광고 개수를 늘려라 라고 하는 거죠. 왜냐? 노출이 많아지면 cpm이 수익이 높아질 테니까
9:16
근데 이거는 양날이 검이라고 말씀을 드리는 게 광고가 많으면 저 자신조차도 사실 블로그 글을 읽기가 싫어집니다
9:23
그래서 나갈 확률이 많아요. 그래서 노출이 오히려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. 반대로 광고가 덕지덕지 붙었는��
9:30
어디에도 없는 내용이 들어있는 블로그다 라고 하면 광고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 블로그 글을 읽고 있겠죠
9:38
그래서 이거는 여러분의 판단에 맞게 돼 저 개인적으로는 너무 많은 광고가 있는 블로그는 오히려 앞에서 말씀드린 사용자 경험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라고 생각을 합니다
9:51
이러한 것들이 이제 우리가 앞으로 블로그를 운영함에 있어서 여러분이 생각을 하시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
10:01
자 그러면 오늘은 여기까지 제가 좀 급하게 영상을 찍었는데요. 아 그리고 막간으로 저희 워플에서 지금 블로그 초기 세팅 서비스 운영하고 있죠
10:10
저희 블로그 초기 세팅 서비스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을 하실 때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첫 번째 조건인 로딩 속도��
10:20
그리고 구글의 랭킹을 높이기 위해서 받아야 되는 코어의 바이탈 점수를 블로그 초기 세팅에 거의 만점을 받도록 세팅을 해드리고 있습니다
10:30
그래서 여러분이 그냥 블로그 컨텐츠에 좀 집중할 수 있도록 고민을 좀 덜어드리고 있습니다
10:36
그래서 이제 막 블로그를 시작하시는 분들은 워플의 블로그 초기 세팅 서비스도 관심 가져주시기 바라��
10:42
다음에 또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. 그러면 안녕히 계세요. 바이바이 감사합니다

